투자 전문가가 알려주는 깊이 있는 뉴스레터 S&P 500 5,667.56 ▲ 4.67 (+0.08%) NASDAQ 17,784.05 ▲ 92.43 (+0.52%) 코스피 2,643.13 ▲ 6.03 (+0.23%)
코스닥 719.41 ▼ 5.74 (-0.79%)
비트코인 125,417,000원 ▲ 1,267,000원 (+1.02%) |
|
|
상업용 부동산 시장 진단 - ② 2025년 부동산 시장 투자 포인트
님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번 뉴스레터 시리즈의 두 번째 시간으로, 2024년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전망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
|
1. 2025년 오피스 시장은 괜찮을까요?
2025년에는 정치적 이슈와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동시에 부각되면서 시장 분위기가 다소 불안정해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는데요. 그러나 이러한 불확실성은 오히려 금리 인하 기조를 뒷받침하는 요인이 될 수 있어요.
2025년의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을 전망해보면, ① 제한적인 신규공급, ② 안정적인 임대 시장, ③ 밸류에이션의 회복이라는 삼박자가 갖추어지는 구간입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부동산 투자 시 필요한 자금 조달 비용이 줄어들고 자산 수익률이 상승하기 때문에 투자 수요는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도 공존하지만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까지 일어나면서 대형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크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
|
|
Tip: 상업용 부동산의 Cap. rate (캡 레이트)
- 'NOI(순 운영소득 ≒ 영업이익)/부동산 가격'으로 계산하는 지표로, 주식 시장의 PER과 역수 관계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Cap. rate가 낮아지면 부동산 가치가 높아지는 것, Cap. rate이 올라가면 부동산 가치가 하락한다는 의미 |
|
|
2. 금리 인하기에는 정말 가격 상승이 발생하나요?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때는 모든 자산이 급락하며 상업용 부동산도 약 –3% 정도 떨어졌습니다. 반면, 2012년과 2019년에 금리가 인하되었을 때는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각각 +17%, +12% 상승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가격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주식시장(KOSPI·KOSDAQ)은 금리 하락기에 큰 변동성을 보이곤 했지만, 상업용 부동산은 상대적으로 가치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왔는데요. 이 때문에 “금리 인하 → 경기 부양 → 상업용 부동산 가격 상승”의 공식이 다시 한 번 유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
3. 해외 부동산은 안 좋다는데 서울 오피스는 괜찮나요?
미국 오피스 가격은 지난 2022년 금리 인상 시점부터 점차 하락세를 보였고, 코로나 시대 이후 재택근무 확산, 그리고 과도한 공급 등의 영향으로 최대 -35%까지 하락했습니다. 반면, 한국 오피스 시장은 2023년에 잠시 주춤한 뒤 다시 안정적인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미국: 재택근무 확산 + 과잉 공급 → 공실률 급증 → 가격 급락
- 한국: 신규 공급이 한정적 + 견고한 임대 수요 → 공실률이 낮은 수준 유지
|
|
|
4.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이 높다는데 오피스는 괜찮나요?
요즘 가로수길이나 강남구 일부 지역을 보면 ‘임대 문의’ 간판이 부쩍 눈에 띄는데요. 이는 ‘실물 경기가 상당히 안좋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는 대부분 리테일형 오피스로 분류되고, 소형 건물이 대부분입니다.
지난 2월, 한국부동산원 데이터에 따르면 소형 부동산의 서울 공실률은 '10% 내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집계가 어려운 꼬마 빌딩을 제외한 2,000평 이상 규모의 빌딩을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로, 실제 소형 건물의 공실률은 더욱 클 것이라는 예측이 많습니다.
한편, 대형 오피스는 전체 2.9%의 공실률을 기록하고 있는데요. 핵심권역별로는 도심권역 3.1%, 강남권역 3.2%, 여의도권역 1.3%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공실률(용어사전 참고!)인 5% 보다 크게 하회하고 있어 안정적인 임대 시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대형 부동산에 대한 신규 공급이 제한적인 상황이기에 이러한 기조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
|
|
📌 리얼바이 Tips!
오늘은 상업용 부동산 시장 진단의 두 번째 시간으로 2025년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살펴보았습니다.
- 2025년 서울 오피스 시장은 밸류에이션이 회복되며 오피스 가격 상승 압력이 더해지고 있고, 임대 시장의 펀더멘털이 굳건한 시점에서 투자 수요까지 확대되며 양호한 흐름이 전망됩니다.
- 미국과 한국의 상반되는 오피스 가격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은 ① 신규 공급과 ② 임대 시장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한국은 공급과 임대 시장이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는 2027년까지 지속될 전망입니다.
-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공실률을 양호하다고 말할 수 없지만, 규모별로 확인하면 대형 건물일수록 안정적인 임대 시장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임차인들도 더 좋은 건물을 선호하는 ‘우량 자산 쏠림’ 현상이 3년 이상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도 대형 빌딩은 공실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2주에 걸쳐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 전망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다음 뉴스레터에서는 새로운 주제로 다시 인사드리겠습니다😊
|
|
|
님! 부동산 자산의 미래 활용 전략에 대해 알아보세요! ✍ |
|
|
🤗 기사 내용을 누르면, 원문 기사로 이동해요. |
|
|
✏️ 주요 일정 요약
- 3월 24일 (월), 제조업, 서비스업 지수 발표 |
|
|
님, 오늘 뉴스레터 내용이 괜찮으셨다면 '리얼바이' 앱도 설치해보세요. |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
좋았던 점 혹은 아쉬웠던 점을 말씀해 주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