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5,970.84 ▼ 66.75 (-1.11%) NASDAQ 19,722.03 ▼ 298.33 (-1.49%) 코스피 2,404.77 ▼ 24.90 (-1.02%)
코스닥 665.97 ▼ 4.47 (-0.66%) 비트코인 138,906,000원 ▼ 3,396,000 (-2.39%) |
'지표'만 봐도 경제 흐름이 보인다?! '금리의 비밀' 풀어드림 ⚙️
%name%$님 안녕하세요!🙋♀️금융시장도 연말을 맞아 잠시 쉬어가는 분위기인데요. 큰 이벤트는 없지만, 지난 주 뉴스레터에서 다뤘던 ‘금리 인하 소식’과 관련해 "어떤 지표들이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까?" 궁금하셨던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이번 주에는 금리 흐름을 읽는 데 도움이 되는 주요 경제 지표를 함께 살펴보도록 해요! |
1. 소비자물가지수(CPI)🔍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는 가계가 일상적으로 구입하는 상품·서비스(장바구니 물품) 가격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 물가지표예요. 인플레이션 추세를 파악할 때 가장 많이 인용되죠. 통계청 등에서 정해둔 ‘대표 상품·서비스’ 가격을 정기적으로 조사해, 기준연도(100) 대비 얼마나 올랐는지(또는 내렸는지)를 산출합니다.
금리와의 관계 - 물가가 급등하면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 인상을 검토합니다.
- 물가가 안정(하락) 기조라면, 금리 인하(완화) 여력이 커지게 돼요.
|
☞ 추가 Tip: 소비자물가지수는 생산자물가지수(PPI)의 영향을 받아요. PPI 상승은 기업이 원가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을 높여, CPI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
2. 국내총생산(GDP)🚀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은 일정 기간(주로 분기·연간) 동안 한 나라(혹은 유로존 등)에서 생산된 최종 재화·서비스 가치의 총합이에요. 경제가 ‘얼마나 잘 굴러가고 있는지(성장률)’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죠. 지출 접근법(GDP=C+I+G+NX)을 대표적으로 사용해서 계산해요. |
금리와의 관계 - GDP가 탄탄하게 성장하면 물가상승압력도 커질 수 있으므로,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져요.
- GDP가 둔화되면 경기를 살리기 위해 금리를 인하하는 쪽으로 무게가 실릴 수 있답니다.
|
☞ 추가 Tip: GDP와 고용지표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요. GDP 성장률이 낮아지면 고용 부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이는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금리 인하)을 촉발할 수 있어요. |
3.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ore CPI)🔦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식료품·에너지처럼 가격 변동이 극심한 품목을 뺀 물가지표예요. 물가의 ‘기저 흐름(Underling Trend)’을 파악하기 좋아, 중앙은행 정책 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CPI 산정 방식에서, 에너지·신선식품 등을 제외한 뒤 지수화해요.
금리와의 관계 - 근원 소비자물가지수가 오르락내리락하는 정도를 보고, 중앙은행은 금리 인상 or 인하 시점·폭을 판단합니다(장기적 물가 추세 반영).
|
☞ 추가 Tip: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단기적인 외부 충격(예: 유가 급등)에 덜 민감해 장기적 물가 추세를 더 정확히 반영할 수 있어요. |
4. 고용지표(실업률 등) 📊 실업률은 노동시장에 참여하려는 사람 중 실제 일자리가 없는 비율(경제활동인구 대비 실업자 수 비율)을 말해요. 그 밖에도 신규고용자 수,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미국) 등이 있어요.
금리와의 관계 - 고용이 좋아지면 소비·투자 활력이 올라가 물가 상승 압력도 커져요 → 금리인상 압력 증가
- 고용이 부진하면 중앙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낮추는 쪽으로 기울 가능성이 커요.
|
☞ 추가 Tip: 고용지표는 경기 회복 여부를 판단하는 선행 신호로도 활용됩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매월 발표되는 비농업 고용지표(NFP)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 이번 뉴스레터 마무리 & 요약! 지난주 유럽중앙은행(ECB)와 연준(FED)의 금리인하 소식에 이어, 이번 주엔 금리 인하·인상 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주요 지표들을 살펴봤어요. 아래 표는 지금까지 살펴본 주요 지표들이 상승(↑) 혹은 하락(↓)할 때, 금리에 미치는 일반적인 영향을 요약한거예요. |
오늘 소개해드린 8가지 지표(CPI, GDP, 고용, 심리지수 등) 외에도 PMI, 부동산 지표, 무역수지, 국채금리 스프레드 등도 중앙은행의 금리정책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힌트를 제공해요. |
📌 리얼바이 투자 Tip!
이번 뉴스레터에서 살펴본 주요 경제 지표들은 독립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서로 상호작용하며 더 큰 의미를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소비자심리지수가 상승하고 소매판매가 증가하면 이는 경제 회복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을 검토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반대로 생산자물가지수 하락과 통화량 감소는 디플레이션 우려를 나타내며 금리 인하 압력을 강화할 수 있죠.
실제 통화정책 결정은 단일 지표가 아닌 여러 지표와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 주요 지표의 발표 일정과 추세 변화를 체크하며, 시장이 예상치 못한 결과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해 보세요. 이렇게 지표를 깊이 이해하면 금리 흐름은 물론, 시장 투자 아이디어까지 탄탄히 잡아갈 수 있을 거예요!
다가오는 새해에도 현명한 투자로 목표를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2024년 마무리 잘하시고, 2025년에도 함께 성장해 나가요! 😊 |
님! 2025년 되기 전 알아야 할 정보를 확인해볼까요?👨🏫 (이미지를 클릭해보세요)
|
🤗 기사 내용을 누르면, 원문 기사로 이동해요. |
🏳 부동산 공매
부동산 공매는 채무자가 채무를 갚지 못했을 때, 국가기관, 공공기관, 또는 금융기관이 해당 부동산을 강제로 매각하여 채권자에게 변제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공매는 주로 법원 경매와 비슷한 과정으로 진행되지만, 국세청,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공공기관이 주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공매의 주요 특징 절차의 시작 채무자가 세금, 대출 등 채무를 갚지 못하면, 해당 부동산은 공공기관에 의해 압류되고 공매 대상이 됩니다. 공매 진행 방식 공매는 전자공매 시스템(예: 캠코의 ‘온비드’)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입찰자가 희망 가격을 제시하면, 최고가 입찰자가 낙찰받는 방식입니다. 장점 일반적인 부동산 거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매입할 기회를 제공하며, 전자 시스템으로 접근성과 투명성이 높습니다. 주의점 공매 부동산은 기존 세입자 문제, 권리관계(저당권, 유치권 등), 명도(점유자 퇴거) 등 복잡한 법적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사전 조사가 필수적입니다.
부동산 공매는 투자자에게 저렴한 가격에 매입할 기회를 제공하지만, 위험 요소와 법적 관계를 철저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주요 일정 요약 🇰🇷 한국, 정치 불안에도 소비자 물가는 견조한가? - 12월 31일 (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 미국, 제조업 현황을 알아볼 시간 !! 🧐 - 1월 2일 (목), 제조업 구매관리지수 발표 |  |
님, 오늘 뉴스레터 내용이 괜찮으셨다면 '리얼바이' 앱도 설치해보세요.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 좋았던 점 혹은 아쉬웠던 점을 말씀해 주세요. | |
|